삼성은 이날 2018년부터 2020년까지 180조원(국내 13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보면 △AI·5G·바이오·전장부품 등 4대 미래성장 지원 △지방노후산업단지 소재기업 등 2500곳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팩토리 지원 △서울과 수도권,삼성전북투자유치치권대책필요투자 위험 지방을 포함한 전국 4~5곳 취업준비생 1만 명에 대한 소프트웨어 교육 지원 △사내벤처 창업프로그램인 C-Lap 인사이드를 외부로 확대한 500개 과제지원 등이다.
청년 일자리 창출도 선도하겠다고 나섰다. 3년간 약 2만~2만5000명 수준이었던 채용을 확대해 4만 명을 직접 채용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군산 등 산업·고용위기지역에 대한 투자여부와 규모 등은 밝히지 않았다. 다만 도가 육성하는 자율주행 상용차에 들어갈 핵심부품인 전장부품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기대를 모은다. 삼성은 미래성장 사업으로 AI·5G·바이오·반도체 중심의 전장부품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삼성의 강점인 반도체, ICT, 디스플레이 기술을 자동차에 확대 적용해 미래 전장부품을 선도할 방침이라고 부연했다.
지방노후 산업단지 소재 기업에 대한 지원이나 창업프로그램 지원 등도 기대감을 갖게 하는 대목이다.
때문에 지역에서는 전북도와 정치권이 적극 나서 삼성의 투자를 이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협력업체 관계자는 “정부가 산업·고용위기지역을 지정한 이후 일자리나 지원부분에 대해 전혀 나아진게 없다. 도와 정치권이 이때라도 나서서 투자유치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강조했다.
그러나 삼성 고위관계자는 8일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번 발표는 투자와 고용 방향성이 나온 것이다. 일부 사업은 앞으로 구체적인 설명이 나올 것이다”면서도, “지역에 대한 투자는 언급하기 어렵다. 추후에도 지역 투자 발표가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